VNC(Virtual Network Computing) 란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GUI 시스템 입니다.
컴퓨터에 VNC 서버를 설치 후 원격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원격 접속하는 구성 입니다.
테스트는 Centos7.9_64bit GUI 로 진행 했습니다.
1)selinux 비활성화
|
Sestatus 명령어로 SELinux 상태가 disabled로 되어있는지 확인 합니다.
만약 disabled로 안되어있다면
해당 경로 진입하여
SELINUX=enable -> disabled로 변경 후 wq!저장하신다음 재부팅 진행 하시면 됩니다
|
2)VNC 설치
|
Yum install tigervnc-server –y 명령어로 설치 진행 합니다.
|
3)VNC 패스워드 설정
|
Tigervnc-server 패키지 설치가 완료되었다면
Vncpasswd 로 vnc에 접속할 비밀번호를 임의로 설정 합니다.
|
4)VNC 서버 구성
|
비밀번호까지 설정을 완료 했다면 vnc서버 구성을 위한 설정을 진행 합니다.
해당 경로에 진입하여
ExceStrat=/usr/bin/vncserver_wrapper %i
= 실제 리눅스 user 계정으로 설정
%i = 디스플레이 번호를 설정합니다.
테스트로는 %i에 1을 넣고 진행했습니다.
|
5)VNC 방화벽 추가
|
firewall-cmd –add-service=vnc-server -–permanent
명령어로 방화벽vnc-server서비스를 추가하고
firewall-cmd –reload
명령어로 방화벽 재시작을 진행 합니다.
|
6)vncserver 재시작
|
systemctl daemon-reload
systemctl restart vncserver@:1.service
위 명령어로 서비스를 재시작 해줍니다.
vncserver@:1 <- 이 숫자는 디스플레이 번호 입니다.
|
7)vncserver 실행
|
vcnserver 명령어로 실행 합니다.
|
8)vnc view 프로그램 실행 및 원격 접속
|
서버의 IP주소 및 :1입력하여 연결 클릭
vncserver 구성 과정에서 에 넣었던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
정상적으로 원격 접속에 성공한 모습 입니다.
감사합니다.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