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
												
 GVM (Openvas)는 오픈소스 네트워크 취약점 점검 도구 입니다. 본 매뉴얼에선 GVM설치 및 간단한 점검법에 대해서 다룹니다. 
테스트 환경 : Kali Linux 2022.3, root 권한(sudo 제외), 설치 된 GVM V.21.4.3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1. GVM 설치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#apt install gvm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중간에 서비스들이 업그레이드 되며 재시작 될 수 있다는 경고문이 뜨는데 yes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2-1. GVM setup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#gvm-setup
 
  
            GVM 초기 셋팅을 자동으로 합니다. 
  DB셋팅 및 다양한 data를 업데이트하며 상단한 시간이 걸립니다. 
  (30분 이상이며 인터넷 환경에 따라 2시간 이상도 소요됨)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2-2. GVM setup 완료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gvm-setup 완료 시 웹 접속 시 필요한 admin 계정의 비밀번호가 임의로 생성되어
  보여줍니다. 
            초기 접속을 위해 반드시 비밀번호를 따로 저장해 두어야 합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3. GVM setup check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#gvm-check-setup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GVM이 정상적으로 설치됐는지 확인하는 명령어
 
 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  
  
 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4-2. 비밀번호 변경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자동생성 된 임의의 비밀번호는 빠르게 변경해 줍니다. 
            우측 상단의 사람모양 아이콘 -> My Setting -> Edit 후
  비밀번호 변경 후 저장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5-1. 취약점 점검 - 타겟 설정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Configuration -> Targets ->
  New Target 선택 
            이름 설정 및 Hosts에 점검할 서버의 IP 입력 후 저장 
            Task 생성 시 Target
  설정도 가능합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5-2. 취약점 점검 - Tasks 생성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Scans -> Tasks -> New Task ->
  이름, 타켓 및 Scan Config(기본인
  Full and fast) 설정 후 저장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5-3. 취약점 검점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생성된 Task 에서 점검 시작 
            Status 바에 Done이 뜨면 완료된
  겁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6. 결과 리포트 받기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Scans -> Reports 에서 점검 완료 된 태스크 선택 
            상단 리포트 다운로드 아이콘 클릭 후 다양한 양식으로 리포트 다운로드 가능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7-1. 특이사항 - 기본 Scan Configs 가 비어 있을 때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GVM 설치 직후 태스크 생성 시 오류가 뜰 수 있으며 Configuration ->
  Scan Configs 안이 비어 있을 수 있습니다. 실제 설치 완료 후에도 GVM 내부에서 피드 등 내부 데이터 동기화 진행이 덜 돼서
  그런 것으로 
  #cat /var/log/gvm/gvmd.log 
            상단 명령어로 로그 확인 시 내부 updating 중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
            2번 GVM setup 이후 30분에서 1시간 이후 Configuration
  -> Scan Configs 확인 시 정상적으로 기본 config 확인이 가능합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7-2. 특이사항 - 리포트 양식을 PDF로 설정 시 파일 용량이 0 Bytes 일 때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리포트 양식을 PDF로 설정 후 다운로드 시 용량이 0
  Bytes로 아무것도 안보일 수 있습니다. 
            이 경우 latex.xsl 파일의 한 줄 앞에 % 추가를
  해주면 됩니다. 
            /var/lib/gvm/gvmd/report_formats/~~~/latex.xsl (경로는
  스크린샷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.) 파일 내  
            \usepackage[utf8x]{inputenc} 행 앞에 %를 추가하여 
            %\usepackage[utf8x]{inputenc} 로 변경 후 저장하고 pdf로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  
  
  
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7-3. 특이사항 - 피드 업데이트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 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     | 
              
  #gvm-feed-update 
            상단 명령어로 보안 데이터(DB)를 최신화 할 수 있습니다. 
              
             | 
          
      
    
 
  
  
			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