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노트

기술노트

게시물 상세
자주 사용하는 CMD 명령어
작성자 : 관리자(jieun@ehostidc.co.kr)  작성일 : 2018-11-16   조회수 : 4058

자주 사용하는 CMD 명령어


1. 신규 계정 생성

net user newuser /add

-> newuser 계정을 생성한다. (패스워드 없는 상태로 생성)

net user newuser newpass /add

-> newuser 계정을 생성하면서 패스워드를 newpass로 지정한다.

net user newuser * /add

-> newuser 계정을 생성하면서 신규 패스워드를 두 번 입력 받는다.


2. 기존 계정 패스워드 변경

net user olduser newpass

-> olduser 계정의 패스워드를 newpass로 변경한다.

net user olduser *

-> olduser 계정의 신규 패스워드를 두 번 입력 받는다.


3. 기존 계정 그룹에 등록/삭제

net localgroup administrators olduser /add

-> olduser 계정을 administrators 그룹에 등록시킨다.

net localgroup "Remote Desktop Users" olduser /add

-> olduser 계정을 Remote Desktop Users 그룹에 등록시킨다.

-> 이처럼 띄어쓰기가 포함된 경우 큰따옴표로 묶어준다.

-> olduser 계정을 administrators 그룹에서 제외시킨다.


4. 기존 계정 활성/비활성

net user administrator /active

net user administrator /active:yes

-> administrator 계정을 활성화 시킨다.

-> /active의 기본 값은 yes이므로 굳이 :yes를 붙일 필요는 없다.

net user administrator /active:no

-> administrator 계정을 비활성화 시킨다.


5. 기존 계정 만료날짜 설정

net user olduser /expires:2018/11/14

-> olduser 계정이 2018년 11월 14일 00시부로 만료된다.

-> 11월 13일 23시 59분 59초까지는 로그인 가능, 11월 14일 00시부터 로그인 불가

-> 연도는 4자리, 2자리 모두 표기 가능

net accounts /forcelogoff:5

-> 계정 만료날짜가 설정된 경우, 만료시간 5분 후 강제로 로그오프 됨

-> 즉 olduser 계정은 2018년 11월 14일 00시 05분에 강제로 로그오프 됨


6. 다음 번 로그온 시 반드시 패스워드 변경하도록 설정

net user olduser /logonpasswordchg:yes

-> olduser 계정은 다음 번 로그온 시 반드시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함


7. 패스워드 만료 기간 설정

net accounts /maxpwage:30

-> 30일 지나면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함

-> 패스워드 만료 기간 설정에 영향을 받음

-> 신규로 생성한 계정은 기본적으로 이 값이 true이므로 설정할 필요 없음

-> 현재 olduser 계정에 대해 설정된 값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

이전글 [Linux]iptables 에 Geoip 연동하여 국가별 접속 차단하기
다음글 CentOS 6 IPTABLES 정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