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이슈
[EhostICT] 최근 침해사고 증가에 따른 기업보안 강화 요청 | |
---|---|
작성자 : 관리자(marketing@ehostidc.co.kr) 작성일 : 2024-02-01 조회수 : 2424 | |
□
개요 ○ 최근 신원 미상의 해커그룹이 텔레그램을 통해 국내 웹 사이트에 대한 홈페이지
변조 및 정보 탈취, 디도스 등 지속적인 공격 예고 및 진행 ○ 이에 추가 공격에 대비 각 기업 담당자들께서는 아래 대응 방안을 참고하여 주요
시스템의 보안 점검 및 대응 강화를 요청 ※
침해사고 확인 시,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(boho.or.kr)를
통해 신고 □ 사고 사례(`24년 1월) ○ 비영리 협회, 대학, 관공서, 재단, 중소
병원 등에 대한 홈페이지 변조 및 개인정보유출 시도 ○ 사이버 보안기업 및 언론사에 대한 디도스 공격 수행 □ 대응 방안 ○ 웹 서버 등 주요 시스템에 대한 보안 패치, 취약점
점검·보완 ①
OS 및 소프트웨어의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✔
사용 중인 OS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▶
특히 아파치-톰캣 기반의 자바 솔루션(오라클 웹로직, 아틀라시안 컨플루언스, 아파치 스트럿츠2 등)은 반드시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운영 ✔ GNU 배시 셸 최신 패치 적용 ② 웹 관리자 계정 보안 강화 ✔
웹 관리자 비밀번호 복잡도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 ✔
관리자 로그인 시 이중 인증 설정(SMS, OTP 등) ✔
관리자페이지 접근 IP 제한(특정 IP만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) ▶
관리자 전용 단말을 선정하여 접근을 제한하고, 단말은 관리 업무 이외 사용 금지(웹, 메일확인 등) 및 OS와 백신은 최신 버전으로 사용 권고 ③ 웹 서버 취약점 점검 및 보완 ✔
웹 방화벽 및 IPS 등 보안 솔루션을 통한 웹 공격 탐지 및 차단 ✔
파일 업로드 및 관리자 로그인 페이지 등을 집중 점검 ▶
업로드 가능 파일타입 검증, 업로드 폴더의 실행권한 여부 점검 등(참고 : KISA홈페이지 → 지식플랫폼 → 법령·가이드라인 → 가이드라인 →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가이드) ☞
중소기업의 경우, 무료 점검신청으로 보안강화(‘보호나라 →
정보보호 서비스 → 서비스 신청하기 → 중소기업 홈페이지 보안강화’ 신청) ✔
개인정보유출 공격(SQL injection) 대응을 위한 보안 강화 ▶
입력 값 검증 및 예외처리, 필터링 규칙 적용 등 보안강화(참고 : 보호나라 → 알림마당 → 보고서/가이드 → 웹서버 보안강화 안내서) ☞
중소기업의 경우, 무료 점검신청으로 보안강화(‘보호나라 →
정보보호 서비스 → 서비스 신청하기 → 중소기업 홈페이지 보안강화’ 신청) ✔
시큐어 코딩 적용 검토 ▶
참고 : KISA홈페이지 → 지식플랫폼 → 법령·가이드라인 → 가이드라인 →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, Javascript 시큐어코딩 가이드 등 ✔
기타 운영환경의 보안성 점검 ▶ SW 보안패치 적용, DB 계정 관리, DB 로그설정 등(참고 : 보호나라
→ 알림마당 → 보고서/가이드 → 중소기업 서비스 개발 운영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 방안, 웹서버 보안강화 안내서, 웹 에디터 보안가이드 등) ✔
운영 시스템의 침해사고 흔적 발견 시,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 ▶
비정상 관리자 로그인 이력, 비정상 파일 생성 및 DB 질의
확인 등 ☞ 침해사고 확인 시, 보호나라(boho.or.kr) → 침해사고 신고 → 신고하기 ○ 디도스 공격에 대비하여 모니터링 강화 - 디도스
방어 솔루션 도입 및 망 사업자 서비스를 통해 대응 ☞
중소기업의 경우, KISA DDoS 방어서비스 이용(‘보호나라
→ 정보보호 서비스 → 서비스 신청하기 → 중소기업 홈페이지 보안강화 → 사이버 대피소’ 신청) □ 참고 ○ 한국인터넷진흥원 배포 보고서/가이드 ① KISA 보호나라(boho.or.kr) → 알림마당 → 보고서/가이드 ② KISA 홈페이지(kisa.or.kr) → 지식플랫폼 → 법령·가이드라인 → 가이드라인 - 샤오치잉
공격 그룹 침해사고 및 대응방안 보고서 - 중소기업
대상 DDoS 공격 대응 가이드 - 한눈에
보는 로그설정 노트 - 중소기업
서비스 개발 운영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 방안 - 웹서버
보안 강화 안내서 - 웹
에디터 보안 가이드 - 소프트웨어
보안약점 진단가이드 ※ https://www.kisa.or.kr/2060204/form?postSeq=9&page=2 - 소프트웨어
개발보안 가이드 ※ https://www.kisa.or.kr/2060204/form?postSeq=5&page=2 - Javascript 시큐어코딩
가이드 ※ https://www.kisa.or.kr/2060204/form?postSeq=14&page=1 ○ 중소기업 대상 보안서비스 이용 - 휘슬(Whistl), 캐슬(Castle), 웹취약점 점검, 사이버대피소 등 ※
KISA보호나라(boho.or.kr) → 정보보호서비스 → 서비스 신청하기 → 중소기업
홈페이지 보안강화 - 서버
원격보안점검, 자가진단 도구 신청 ※
KISA보호나라(boho.or.kr) → 정보보호서비스 → 서비스 신청하기 → 내 서버
돌보미 - 중소기업
침해사고 피해지원 서비스 ※
KISA보호나라(boho.or.kr) → 정보보호서비스 → 중소기업 피해지원 ○ 유사 공격그룹 관련 보안강화 권고사항 - 국내
홈페이지 변조 관련 민간부문 보안 강화 권고 안내 ※ 보호나라 홈페이지 → 알림마당
→ 보안공지 |
|
이전글 | [EhostICT] 기업 문자발송 시스템 해킹을 통한 스미싱 위협 증가에 따른 주의 필요 |
다음글 | [EhostICT] Hitron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