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안이슈
[EhostICT] MS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: 관리자(jieun@ehostidc.co.kr) 작성일 : 2020-04-21 조회수 : 10868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□ 4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0종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7종, 중요(Important) 3종 o 발표일 : 2020.04.16.(목) o 업데이트 내용
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1. Windows 10 v1909, v1903, v1809, v1803, v1709,
Edge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
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87, CVE-2020-0889, CVE-2020-0907, CVE-2020-0910,
CVE-2020-0938, CVE-2020-0948, CVE-2020-0949, CVE-2020-0950, CVE-2020-0953,
CVE-2020-0959, CVE-2020-0960, CVE-2020-0964, CVE-2020-0965, CVE-2020-0969,
CVE-2020-0969, CVE-2020-0970, CVE-2020-0970, CVE-2020-0988, CVE-2020-0992,
CVE-2020-0994, CVE-2020-0995, CVE-2020-0999, CVE-2020-1008, CVE-2020-1020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784, CVE-2020-0888, CVE-2020-0913, CVE-2020-0917,
CVE-2020-0918, CVE-2020-0934, CVE-2020-0936, CVE-2020-0940, CVE-2020-0942,
CVE-2020-0944, CVE-2020-0956, CVE-2020-0958, CVE-2020-0983, CVE-2020-0985,
CVE-2020-0996, CVE-2020-1000, CVE-2020-1001, CVE-2020-1003, CVE-2020-1004,
CVE-2020-1006, CVE-2020-1009, CVE-2020-1011, CVE-2020-1014, CVE-2020-1015,
CVE-2020-1017, CVE-2020-1027, CVE-2020-1029, CVE-2020-1094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20-0794, CVE-2020-0993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699, CVE-2020-0821, CVE-2020-0937, CVE-2020-0939,
CVE-2020-0945, CVE-2020-0946, CVE-2020-0947, CVE-2020-0952, CVE-2020-0955,
CVE-2020-0962, CVE-2020-0982, CVE-2020-0987, CVE-2020-1005, CVE-2020-1007,
CVE-2020-1016) - 보안 기능 우회(CVE-2020-0981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549949, 4549951, 4550922, 4550927, 4550929,
4550930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
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2. Windows Server 2019, Windows Server 2016, Server
Core 설치(2019, 2016, v1909,
v1903, v1803)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
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87, CVE-2020-0889, CVE-2020-0907, CVE-2020-0910,
CVE-2020-0938, CVE-2020-0948, CVE-2020-0949, CVE-2020-0950, CVE-2020-0953,
CVE-2020-0959, CVE-2020-0960, CVE-2020-0964, CVE-2020-0965, CVE-2020-0988,
CVE-2020-0992, CVE-2020-0994, CVE-2020-0995, CVE-2020-0999, CVE-2020-1008,
CVE-2020-1020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784, CVE-2020-0888, CVE-2020-0913, CVE-2020-0917,
CVE-2020-0918, CVE-2020-0934, CVE-2020-0936, CVE-2020-0940, CVE-2020-0942,
CVE-2020-0944, CVE-2020-0956, CVE-2020-0958, CVE-2020-0983, CVE-2020-0985,
CVE-2020-0996, CVE-2020-1000, CVE-2020-1001, CVE-2020-1003, CVE-2020-1004,
CVE-2020-1006, CVE-2020-1009, CVE-2020-1011, CVE-2020-1014, CVE-2020-1015,
CVE-2020-1017, CVE-2020-1027, CVE-2020-1029, CVE-2020-1094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20-0794, CVE-2020-0993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699, CVE-2020-0821, CVE-2020-0937, CVE-2020-0939,
CVE-2020-0945, CVE-2020-0946, CVE-2020-0947, CVE-2020-0952, CVE-2020-0955,
CVE-2020-0962, CVE-2020-0982, CVE-2020-0987, CVE-2020-1005, CVE-2020-1007,
CVE-2020-1016) - 보안 기능 우회(CVE-2020-0981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549949, 4549951, 4550922, 455092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3.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
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87, CVE-2020-0889, CVE-2020-0907, CVE-2020-0938,
CVE-2020-0953, CVE-2020-0959, CVE-2020-0960, CVE-2020-0964, CVE-2020-0965,
CVE-2020-0988, CVE-2020-0992, CVE-2020-0994, CVE-2020-0995, CVE-2020-0999,
CVE-2020-1008, CVE-2020-1020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936, CVE-2020-0956, CVE-2020-0958, CVE-2020-1000,
CVE-2020-1003, CVE-2020-1004, CVE-2020-1009, CVE-2020-1011, CVE-2020-1014,
CVE-2020-1015, CVE-2020-1027, CVE-2020-1094) -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20-0993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821, CVE-2020-0945, CVE-2020-0946, CVE-2020-0952,
CVE-2020-0955, CVE-2020-0962, CVE-2020-0982, CVE-2020-0987, CVE-2020-1005,
CVE-2020-1007, CVE-2020-1016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550917, 4550961, 4550970, 4550971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895, CVE-2020-0966, CVE-2020-0967, CVE-2020-0968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549949, 4549951, 4550905, 4550917, 4550922, 4550927,
4550929, 4550930, 4550961, 455096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5. Microsoft Office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760, CVE-2020-0906, CVE-2020-0931, CVE-2020-0961,
CVE-2020-0979, CVE-2020-0980, CVE-2020-0991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20-0954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2553306, 3128012, 3203462, 4011104, 4032216, 4462153,
4462210, 4462225, 4464527, 4464544, 4475609, 4484117, 4484125, 4484126,
4484132, 4484167, 4484214, 4484226, 4484229, 4484235, 4484238, 4484244,
4484246, 4484258, 4484260, 4484266, 4484269, 4484273, 4484274, 4484281,
4484283, 4484284, 4484285, 4484287, 4484290, 4484294, 4484295, 4484296,
4484300, 4484319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6. Microsoft SharePoint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원격코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920, CVE-2020-0929, CVE-2020-0931, CVE-2020-0932,
CVE-2020-0971, CVE-2020-0974, CVE-2020-098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011581, 4011584, 4484291, 4484292, 4484293, 4484298,
4484299, 4484301, 4484307, 4484308, 4484321, 448432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원격코드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1022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o 관련 KB번호 - 4549673, 4549674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, 권한상승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899, 0900) - 보안 기능 우회(CVE-2020-1026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o 관련 KB번호 - 4540102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를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969, 0970)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: 긴급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
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1002) o 영향 : 권한상승 o 중요도 : 중요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
보안 패치 적용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전글 | [EhostICT] Adobe 제품군 보안 업데이트 권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다음글 | [EhostICT] VMware vCenter Server 보안 업데이트 권고 |